시사

리프트바운드 완전 정복: 2025년 TCG 핵심 정보 총정리

leebaro 2025. 6. 5.
728x90

라이엇 게임즈의 야심작, 트레이딩 카드 게임 리프트바운드의 출시 일정, 가격, 게임 시스템 등 공개된 모든 필수 정보를 상세히 안내합니다.

2025년 출시 예정인 라이엇 게임즈의 신작 트레이딩 카드 게임, 리프트바운드에 대한 사전 정보가 공개되었습니다. 본 글에서는 글로벌 출시 일정부터 다양한 제품 구성과 가격, 독특한 카드 희귀도 시스템, 그리고 흥미로운 조직 플레이 계획까지 상세히 다룹니다. 또한, 덱 구성의 핵심이 될 챔피언 전설 카드와 다양한 게임 모드 등, 리프트바운드를 기다리는 팬들을 위한 모든 필수 정보를 총정리하여 제공합니다.

리프트바운드 출시, 언제 어디서 만나볼 수 있나요?

리프트바운드의 첫 번째 기본 세트인 '오리진스'는 중국에서 2024년 8월에 먼저 선보입니다.
이후 2025년 10월 글로벌 출시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초기에는 중국어와 영어로 현지화되어 제공될 것입니다.
라이엇 게임즈는 중국과 글로벌 출시 일정을 최대한 빠르게 동기화할 계획이며,
이를 위해 향후 중국 출시 속도를 조절할 방침입니다. 이는 글로벌 플레이어들에게도 중요한 소식입니다.
두 번째 세트부터는 출시 시점에 맞춰 출시 프로모 팩이 제공될 예정입니다.
해당 팩에는 에픽 등급 챔피언 유닛 카드와 12종의 챔피언 전설 카드 중 하나가 포함됩니다.

다양한 리프트바운드 제품 구성과 예상 가격

리프트바운드는 여러 형태의 제품으로 플레이어들을 만날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각 제품은 다양한 구성품과 가격대로 설정되어 있어, 선택의 폭을 넓힙니다.
다음은 현재까지 공개된 주요 제품 정보와 권장 소비자 가격입니다.

제품명구성품권장소비자가(MSRP)
부스터 팩 (개별)카드 14장$4.99/팩
부스터 박스부스터 팩 24개$119.76 (추정)
챔피언 덱사전 구성 덱, 터크 박스, 종이 플레이매트, 학습 책자, 부스터 팩 1개$19.99
프로빙 그라운드간소화된 덱 2개, 풀아트 플레이매트 4개, 학습 가이드, 대형 전장, 양면 챔피언 아크릴$29.99

개별 슬리브 부스터 팩은 주요 소매점을 통해 구매할 수 있게 될 예정이며,
챔피언 덱은 게임을 처음 접하는 플레이어도 쉽게 시작할 수 있도록 구성됩니다.

수집의 재미: 리프트바운드 카드 희귀도 시스템

리프트바운드 카드는 다양한 희귀도를 가지고 있어 수집의 재미를 더합니다.
예를 들어, 부스터 팩 하나를 개봉하면 총 14장의 카드를 획득하게 됩니다.
이 안에는 브론즈 등급 커먼 카드 7장, 실버 등급 언커먼 카드 3장이 기본적으로 포함됩니다.
또한, 모든 희귀도 중 하나가 포일 처리된 카드 1장과 레어 등급 이상 카드 2장이 들어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토큰 또는 룬 카드가 한 장 포함되어 팩의 구성을 완성합니다.
레어, 에픽, 알트 아트, 오버넘버 카드는 항상 포일 처리되며, 가장 희귀한 카드는 여러 겹의 포일 처리가 특징입니다.
동일한 카드라도 레어, 에픽, 알트 아트 버전이 존재할 수 있어, 카드를 모으는 과정 자체가 핵심 재미 요소가 될 것입니다.

승리를 향한 여정: 리프트바운드 조직 플레이 계획

리프트바운드는 플레이어들이 지속적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체계적인 조직 플레이를 지원합니다.
가령, 매주 '넥서스 나이트'라는 지역 플레이 이벤트가 열릴 예정입니다.
참가자들은 이벤트를 통해 프로모션용 3카드 넥서스 나이트 팩을 받을 수 있으며,
이 팩에는 18종의 패러렐 포일 카드 또는 6종의 알트 아트 룬 중 하나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룬 카드는 대략 두 팩당 하나꼴로 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세트 출시 한 달 후와 그 다음 달, 이렇게 세트당 두 번씩 게임 상점에서 '서머너 스커미시'라는 지역 경쟁 이벤트가 개최됩니다.
이러한 꾸준한 플레이 기회 제공은 동기 부여에 필수적입니다.

다음은 지역 예선 토너먼트 참가자 수에 따른 챔피언십 진출 자격자 수입니다.

참가자 수 (명)챔피언십 진출 자격자 수 (명)
642
1294
2568
51216

덱의 핵심, 챔피언 전설 카드와 그 역할

'오리진스' 세트에는 총 12명의 각기 다른 챔피언을 대표하는 전설 카드가 등장합니다.
이 챔피언 전설 카드는 해당 덱이 사용할 수 있는 두 가지 색상을 결정짓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를 통해 각 덱의 기본적인 아키타입, 즉 전략의 방향성이 구축됩니다.
'오리진스' 세트에는 이 12명 외에도 다른 챔피언 유닛 카드들이 존재하지만,
오직 이 12명의 챔피언만이 고유한 전설 카드를 가지게 됩니다.
예를 들어, 카이사 챔피언 전설 카드는 주문 중심의 '스펠 슬링어' 아키타입을 지원하며,
볼리베어 챔피언 전설 카드는 자원 가속 중심의 '램프' 아키타입을 대표하는 방식입니다.

리프트바운드를 즐기는 다채로운 방법: 주요 게임 모드

리프트바운드는 플레이어들에게 다채로운 게임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여러 게임 모드를 지원합니다.
가장 기본적인 방식은 표준 규칙에 따라 덱을 구성하여 일대일로 대결하는 모드입니다.
이 외에도 두 명의 플레이어가 한 팀을 이루어 다른 팀과 경쟁하는 2대2 팀전 모드가 있습니다.
여러 명의 플레이어가 동시에 참여하여 마지막까지 살아남는 것을 목표로 하는 다인전 모드도 즐길 수 있습니다.
또한, 정해진 수의 부스터 팩을 개봉하여 즉석에서 덱을 만들어 플레이하는 실드 모드도 제공됩니다.
실드 모드에서는 6개의 팩을 개봉한 후, 세 가지 색상만을 사용하여 40장의 덱을 구성해야 합니다.
드래프트 모드의 구체적인 규칙은 현재 개발 중이며 추후 공개될 예정입니다.
라이엇 게임즈는 실제 리그 오브 레전드 경기를 모방하도록 설계된 5대5 팀 모드도 예고하여, 팀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지속적인 재미를 위한 약속: 향후 업데이트 및 추가 정보

리프트바운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게임의 신선함을 유지하기 위한 계획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특정 시점이 지나면 이전 카드들의 사용이 제한되는 로테이션 시스템을 도입할 예정입니다.
첫 번째 로테이션은 2028년으로 예정되어 있어, 게임 환경에 지속적인 변화를 줄 것입니다.
또한, 공정한 경쟁 환경을 위한 조직 플레이 심판 프로그램도 계획 중입니다.
이에 대한 세부 사항은 추후 공개될 예정이며, 이러한 시스템은 게임의 장기적인 운영에 필수적입니다.
모든 덱 구성 시에는 반드시 챔피언 전설 카드 한 장과 최소 하나의 해당 챔피언 유닛 카드가 포함되어야 합니다.
디지털 클라이언트에 대한 공식적인 정보는 아직 없으나, 개발팀은 커뮤니티의 요구를 인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 논의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