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이태원 참사 3주기: 해외 유가족의 외침, 진실은 왜 가려졌나?

leebaro 2025. 10. 28.
728x90

이태원 참사 3주기, 해외 유가족들이 묻습니다: 최소한의 안전은 어디에?

3년이 흘렀지만 여전히 풀리지 않는 의문, 해외 유가족 기자회견을 통해 진실 규명을 촉구합니다.

이태원 참사 3주기를 맞아 해외 유가족들이 한국을 찾아 기자회견을 열었습니다. 이들은 참사의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강력히 요구하며, 한국 정부의 미흡한 초기 대응과 정보 제공 부족에 깊은 유감을 표했습니다. 특히, 사고 당시 기본적인 안전 조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던 점을 지적하며, 다시는 이러한 비극이 반복되지 않도록 정부와 사회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을 촉구했습니다. 한국 시민들의 따뜻한 위로에 감사를 표하면서도,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의혹들에 대한 명확한 답변을 요구했습니다.

좁은 골목길, 왜 일방통행조차 없었을까요? 기본적인 안전 조치는 어디에?

참사 희생자 그레이스 라쉐드의 어머니 조안 라쉐드는 좁은 골목길에서의 일방통행 부재를 지적하며, 기본적인 안전 조치가 왜 이루어지지 않았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질문을 넘어, 안전 불감증에 대한 중요한 문제점을 드러냅니다. 만약 일방통행 조치만이라도 이루어졌다면, 참사를 막을 수 있었을지도 모릅니다.

정부는 왜 유가족에게 직접 연락하지 않았을까요? 언론 보도가 먼저였습니다.

이란 출신 희생자 소마예 모기미 네자드의 언니는 한국 정부가 희생자 가족에게 직접 연락하지 않아 언론 보도를 통해 참사 소식을 접해야 했던 상황에 대한 안타까움을 표현했습니다. 유가족에게는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 전달이 필수적입니다. 가족들은 가장 먼저 소식을 접하고, 필요한 지원을 받아야 할 권리가 있습니다.

이전 정부의 진상 조사, 왜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을까요? 책임자는 누구입니까?

러시아 출신 희생자 김옥시나의 어머니는 이전 정부에서의 진상 조사 부진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참사의 핵심 책임자가 누구인지 알고 싶다고 밝혔습니다. 철저한 진상 규명은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하고, 정의를 실현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누가, 왜, 무엇을 잘못했는지 명확히 밝혀야 합니다.

대통령실 기록은 왜 15년 동안 공개되지 않는 걸까요? 투명한 정보 공개가 필요합니다.

이란 출신 희생자 알리 파라칸드의 누나는 대통령실 기록이 장기간 공개되지 않는 점을 지적하며, 사건의 책임을 져야 할 사람이 누구인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정보 공개는 투명성을 확보하고, 국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는 핵심 가치입니다. 감추는 것이 많을수록 의혹은 커져만 갑니다.

한국 시민들의 따뜻한 위로, 유가족에게는 큰 힘이 되었습니다.

우즈베키스탄 출신 희생자 나지라리에브 무하마드로프의 어머니는 한국에서 참사 유가족의 아픔을 공감하고 위로해주는 사람들에게 깊은 감사를 표했습니다. 이는 연대와 공감이 비극을 극복하는 데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보여줍니다. 함께 슬픔을 나누는 따뜻한 마음이 유가족에게 큰 위로가 되었습니다.

특별조사위원회, 해외 유가족에게 무엇을 물었을까요? 핵심 질문 요약.

이태원 참사 특별조사위원회는 해외 유가족들을 대상으로 참사를 인지하게 된 경위와 한국 정부의 초기 대응에 대한 질문을 집중적으로 진행했습니다.

다음 표는 특조위가 유가족에게 질문한 핵심 내용입니다.

질문 내용 세부 내용
참사를 인지하게 된 경위 최초 인지 시점, 정보 획득 경로, 정보의 정확성 여부
한국 정부의 초기 대응에 대한 평가 연락 및 지원 제공 여부, 정보 제공의 신속성 및 정확성, 필요한 지원 부족 여부
사고 당시 상황에 대한 정보 희생자의 사고 당시 행적, 사고 발생 원인에 대한 정보, 추가적인 정보 필요 여부
사고 이후 심리적, 정신적 지원 필요 여부 트라우마 경험 여부, 전문적인 상담 및 치료 필요 여부, 심리적 안정 지원 요구
기타 정부에 바라는 점 또는 제안 진상 규명 및 책임자 처벌 요구, 재발 방지 대책 마련 촉구, 유가족 지원 강화 요구

특조위 진상 조사 후, 유가족에게 어떤 기회가 주어져야 할까요? 의견 개진의 기회가 필요합니다.

이미현 10.29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 공동상황실장은 특조위 진상 조사 결과가 나온 후, 유가족들이 그 결과에 대한 설명을 듣고 의견을 개진할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유가족의 목소리를 경청하고, 그들의 의견을 반영하는 것은 진정한 문제 해결의 필수 조건입니다.

구분 내용
사고 발생 원인 좁은 골목길, 인파 관리 부재
정부 대응 문제점 정보 제공 미흡, 초기 대응 부족
유가족 요구 사항 철저한 진상 규명, 책임자 처벌

진실은 반드시 밝혀져야 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