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 260

아이의 참을성을 기를 수 있는 방법(카시트에서 떼를 부린다면...)

아이의 요구사항을 들어준다고 아이에게 도움이 되는 것이 아니다. 아이에게 스스로의 감정을 다스릴수 있는 방법을 학습할 기회를 제공해야 하는 것이 부모의 역할이다.당장 원하는 것을 해주는 것을 아이를 위한 것이 절대 아니다. 일관되게 아이에게 어떻게 하면 감정을 다스리는 방법을 학습하게 만들수 있을까를 고민해야 한다. 아이에게는 인지능력, 운동능력, 사회성, 언어능력, 감정, 창의성 등 여러개의 주머니가 있다. 주머니의 크기에 따라 아이가 해당 능력이 좋을수도 나쁠 수도 있다. 주머니의 크기가 다른 것은 타고난 기질 때문일 수도 있고, 가정, 사회 환경으로 인해 후천적으로 변화할 수도 있다.(부모님의 영향이 크다.)감정 주머니는 강하고, 과하고, 불편한 감정을 담아두는 역할은 한다. 이런 감정이 주머니에 ..

육아 2018.12.13

작전-전쟁에는 하루에 천금이 든다

전쟁에는 정신적, 육체적, 물질적 비용이 발생한다. 전쟁을 길게 끌어서 좋을 것이 없다. 전쟁을 통해 내가 얻을 수 있는 것과 전쟁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을 계산하고 내가 감당할 수 있는 기간을 고려해야 한다. 손자가 말하기를 군사를 일으킬 때는 전차 1,000대, 수송차량 1,000대, 완전무장한 병사 10만 명, 천 리 길을 옮길 식량이 필요하다. 그러자면 그 안팎의 비용에 외교사절 접대비, 장비 보수비, 병사 급료까지 하루에 천금이 든다. 그 다음에야 10만의 군사를 동원할 수 있다.돈을 많이 쓰면 이겨도 소용없고, 돈을 아끼자면 빨리 끝내거나 남의 것을 빼앗아서 써야 한다.

시계 - 승부는 싸우기 전에 결정된다

전쟁에서는 목숨을 걸고 하기 때문에 싸움에서 무조건 이겨야 한다. 회사가 전쟁터라면 회사에서 일어나는 프로젝트, 과제들이 하나의 전투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전투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목표를 세워야 한다. 목표를 세울 때 묘산을 잘해서 타당성과 실현 가능성을 파악해야 성공적으로 전투를 마칠 수 있다.묘산이 잘못되면 아무리 많은 사람과 시간을 투입해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없다. 그것은 결국 회사에서 일어난 전투에서 패배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전투를 시작하기 전에 목표를 명확하게 세우자.만약 묘산의 결과가 좋지 않다면, 다른 과제를 찾거나, 목표를 축소 또는 관점의 변화를 통해 가능성 높은 묘산을 구해야 한다.전쟁은 싸우기 전에 승률 계산을 잘해서 아군이 적보다 나은 요소가 많으면 이기고 적보..

시계 - 전쟁은 속임수다

회사 내부의 경쟁자, 우리 회사의 경쟁사와의 경쟁은 전쟁과 비슷한 점도 있고, 다른 점도 있다. 우선 승리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도덕적, 윤리적인 것들을 무시하고 이긴다면, 장기적으로는 나에게 부메랑이 되어 돌아올 수 있다. 그런면에서는 스포츠와 더 유사할 수 있다.손자가 이야기 하는 승부를 알수 있는 7가지 기준은 현재 상황에 빗대어 분석해보는 것은 중요하다. 이 기준을 현재 시대에 맞추면 아래와 같을 것이다. CEO, 오너 또는 리더는 어느 쪽이 훌륭한가?리더, 팀장은 누가 유능한가?고객 평가, 마켓 쉐어는 어느 쪽이 유리한가?법령은 어느 쪽이 잘 지키는가?어느 쪽 진영이 더 잘 단결돼있는가?직원들은 어느 쪽이 더 잘 훈련돼 있는가?상벌은 어느 쪽이 분명한가? 승리하기 위해서 우리가 할 수..

기다리라고 말해도 못 기다르고 떼 쓰는 아이를 교육 시키는 방법

잠깐 기다리라는 부모님의 말에도 당장 해달라고 떼 쓰는 아이들이 있다. 이 아이는 아직 기다리는 방법을 배우지 못한 것이다. 아이가 떼를 쓴다고 화내거나 바로 원하는 것을 해주면 아이는 기다리는 법을 배우지 못한다. 짧게라도 아이에게 기다리는 법을 조금씩 배우게 해서 시간을 늘려줘야 아이게게 기다리는 법을 배울수 있게 하는 것이다. 엄마가 집 안일을 하고 있는데 아이가 떼를 쓰며 장난감을 달라고 하는 상황이라면 아이는 참고 기다려야 하는 것이 맞다. 아이가 그러지 못하다면 가르쳐야 한다. 아이에게 명령이나 부탁을 하는 것이 아니라 우선 아이의 말에 반응을 해줘야 한다."엄마가 들었어. 장난감을 꺼내 달라는 거지? 꺼내 줄께" 라고 말하고 급하게 하던 일을 마무리 한다. 아이가 해준다면서 왜 안꺼내 주냐고..

육아 2018.12.03

시계 - 전쟁의 조건과 장수의 자질이 관건이다.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도의, 기상, 지리, 장수, 법제를 7가지 기준에서 살펴보고 우위에 있어야 한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이 장수의 자질이다. 결국 기상과 지리, 법률 같이 어떻게 할 없는 것을 제외한다면 장수의 역할이 중요하다. 훌륭한 장수이자 리더라면 도의는 따라올 것이다.그럼 다시 장수의 자질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5 가지 방법으로 본다. 그 것은 지략, 신의, 사랑, 용기, 엄격함이다. 현 시대 기준으로 장수를 비교해보자면 조직의 리더라고 볼 수 있다. 내가 리더라면, 또는 나의 리더는 위에서 이야기하는 5가지 자질을 얼마나 가지고 있는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내가 리더라면 5가지 자질을 키워야 하고, 내가 리더가 아니라면 내게 언제가 오게될 수 있는 리더로서의 자질을 생각해보고 갖추려고..

시계 - 전쟁이란 무엇인가?

나의 삶에서 일어날 수 있는 전쟁은 무엇이 있는가?부부싸움, 회사 동료,상사 또는 다른 팀과의 싸움, 친구 또는 부모님과의 싸움등이 있을 수 있다.결국 내 주변에 있는 사람들과 발생할 수 있다. 손자는 전쟁을 잘 살펴보고 시작해야 한다고 했다. 큰 이유 중 하나는 돈이 많이 든다는 것이다.나에게 일어날수 있는 전쟁 또한 비용이 발생할 것이다. 직장과 관련된다면 돈일 것이고, 가족이나 친구와 싸움이 일어나면 감정적 에너지가 많이 소비될 것이다.평생 싸움을 안하고 살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전쟁을 하게 된다면 전쟁을 일으키는 해로움과 이익이 무엇인지 잘 알고 시작해야 한다. 그래야 전쟁의 수가 줄어들고 가능하면 이길 수 있는 전쟁만 하게될 것이다. 시계편(始計篇) On assessment : 전쟁에 앞서..

손자병법

《손자병법》(중국어: 孫子兵法, 병음: Sūn Zǐ Bīng Fǎ)은 고대 중국의 병법서(兵法書)이다. 원본은 춘추 시대 오나라왕 합려를 섬기던 손무(孫武)가 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전해지는 손자병법은 조조가 원본을 요약하고 해석을 붙인 위무주손자(魏武註孫子) 13편이다. 손자 병법은 손무가 쓴 고대 중국의 병법서입니다. 병법서는 전쟁에서 이기기 위한 기술들을 정리해 놓을 글입니다. 전쟁을 할 것도 아닌데 손자병법을 읽고 정리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제가 생각할 때 사회(회사 또는 조직)생활은 장기간 진행하는 전쟁과 비슷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 긴 전쟁 속에는 작고 큰 여러 번의 전투로 이루어져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 과거에 많은 경험을 통해 쓴 훌륭한 병법서를 배우고..

못 참거나 낯선 곳을 무서워하는 아이를 대하는 방법

만 2세 이후의 아이들을 교육을 통해서 참을성을 키울 수 있다고합니다. 이 때 부모님이 참을성을 키울수 있는 환경과 방법을 이용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아이들은 참을성을 배울수 있는 기회를 잃고, 부모님은 당장 아이를 달래려다가 계속 비슷한 상황들로 인해 힘들어 할 것입니다. 저도 처음에는 아이가 울거나 힘들어하면 무조건 달래주거나, 다른 상황 변화를 통해서 아이의 신경을 다른데로 돌리려고 했습니다. 이 것이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해 주지는 못했습니다. 힘들고 반복되더라고, 참고 아이에게 참을성을 키울 수 있는 교육을 하면서, 아이는 참을성이 생기고 이로 인해서 저도 힘든 일이 줄어 들었습니다. 책을 읽으며 방법을 알고나니 아이가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알게되니 스트레스도 덜 ..

육아 2018.11.28

아이의 의존 욕구를 채워줘야 감정 조절을 잘하는 어른이 된다

아이가 항상 바른 행동만 할 수 없습니다. 어렸을 때는 의존 욕구를 채우고 싶어 합니다.아이의 말도 안되는 행동이 의존 욕구 때문이라는 것을 알게된다면, 무조건 화를 내는 것이 아니라 상황에 맞는 대응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그런 의존 욕구를 채워줘야 감정적인 성숙도가 높은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자식은 어쩔 수 없이 부모에게서 배우게 되어 있아. 이것에서 자유로운 사람은 아무도 없다. 어린 시절의 해결되지 않은 감정의 문제가 어른이 되어서도 갈등으로 지속되고 있을 수 있다.의존 욕구라는 것이 있다. 아이가 부모에게 자신이 느끼는 감정을 인정 받고 보호받고 싶어하는 욕구이다. 아이는 부모에게서 "그래, 그렇기 느낄수 있었겠구나"라는 말을 듣고 싶어한다. 정서적 인정을 받고 싶은 것이다. 실수에 대해서도..

육아 2018.11.27
728x90
반응형